안녕하세요
오늘 알려드릴 정보는 청년 월세 한시 특별 지원이라고 하는 전국적으로 `22년부터 `24년까지 국토부 주관 사업으로서 "청년들의 주거비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청년들의 주거독립을 지원하고 지역에서의 정주를 유도" 하는 사업입니다. 치솟는 물가 그리고 코로나와 취업난 등으로 다들 힘드시죠? 아마 그러한 이유로 정부 차원에서 주거비라도 부담을 덜어주자는 의미의 지원인듯 합니다. 천천히 잘 확인해보시고, 제대로 신청만 하신다면 월 20만원씩 1년간 지원받을 수 있는 혜택을 받으실 수 있을겁니다!
1. 신청 기간
2022.8.22~ 2023.8.21 으로서 1년간 신청이 가능하며, 12개월간 지원하는 지원이기에 현재 독립하지 않은 청년이어도 기억해두셨다가 22년 말이나, 23년 중순에 신청하셔도 1년간 혜택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2. 신청 대상
만 19세~34 이하 부모님과 별도거주 하는 무주택 청년이 신청대상입니다. 그리고 소득기준으로서는 원가구 기준은 중위소득 100% 이하여야 하며, 청년가구 소득 기준으로서는 중위 소득 60% 이하여야 합니다.
2022년 기준으로 중위소득 100%의 기준은 3인 가족의 경우 4,194,701원. 4인 가족의 경우는 5,121,080원 입니다.
3. 신청 방법
청년 본인이 복지로(https://www.bokjiro.go.kr) 또는 관할 읍면동사무소(또는 시군구청)에 신청하면 됩니다.
4. 지원 혜택
생애 1회에 한하여 월 20만 원씩 최대 12개월(회) 간 지원하며 청년 본인 계좌로 현금 지급합니다.
5. 복지 서비스 모의 계산
내가 청년월세지원의 대상자인지 간단하게 모의로 계산해주는 국토부 홈페이지 사이트가 있어서 소개해드리고자 합니다. 복지로 내부에 있는 복지서비스 모의 계산 이라는 곳인데 자신의 간단한 소득재산항목을 토대로 사업의 수혜대상이 되는지 자가진단을 하는 사이트이니 한 번 참조해보시기 바랍니다.
teu/app/twat/twatb/twatbz/TWAT53035E
www.bokjiro.go.kr
6. 청년 월세 한시 특별 지원 사업 매뉴얼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 업무의 처리절차나 신청 및 접수 등 또는 신청에 필요한 서식들을 다운로드 받아보고 싶거나 자신의 특수상황(ex. 한부모가정, 프리랜서, 이혼 등)의 상황에는 어떻게 처리되는지 여러 다른 질의사항을 확인해보고 싶으신 분들을 위해 청년월세지원_사업안내서 사업매뉴얼에 들어가셔서 확인하시면 되겠습니다.
문서뷰어
busan.go.kr
그럼 다들 나라에서 주는 지원 및 혜택, 제대로 신청하셔서 누리시며 힘든 시기 힘차게 극복해내셨으면 좋겠습니다.
'지원금 및 혜택 정책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금 낸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있는, 몰라서 못 쓰고 버린 세금 포인트 (사용 방법, 할인 쇼핑몰, 사용처, 조회 방법) (0) | 2023.08.30 |
---|---|
2023년 임신 관련 정부 혜택 총 정리! (임산부 등록, 임신 바우처, 근로시간 단축, 접종지원, 외래진료비, 자동차보험 할인까지) (1) | 2023.08.25 |
2024년 생계급여 A to Z(생계 급여 내용, 금액, 대상, 신청방법까지) (0) | 2023.08.15 |
2023년 민방위 훈련 전국 동시 실시! 정보 공습경보 발령 놀라지마세요 (0) | 2023.08.08 |
건강 보험료 환급금/1인 평균 140만원/ 조회 및 신청 방법 (0) | 2022.08.31 |
댓글